|
시험 (지니 조 / 마케팅 컨설턴트·교수) |
힘차게 시작했던 새 학기는 어느덧 중반을 넘겼고 중간고사가 끝나는 이때쯤부터 슬슬 늘어지는 타이밍이 된다. 날씨가 풀리면서 긴장도 풀리는지 일주일의 봄방학이 끝나 |
|
|
|
주저함 없이 (노유미 / 번역가) |
한 지인이 긴 여행길에 올랐다. 몇 달 전 결혼한 그는 아내와 함께 장장 1년여의 여행을 계획했고 이윽고 실행에 옮겼다.
평소 크게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건 |
|
|
|
즐거운 상상 (우윤미 / 한국학교 교사) |
나는 어릴 적부터 무언가를 빨리 이루고 싶을 때 미래의 내 모습을 상상하고는 했다. 예를 들어 지겨운 학교 공부를 마치고 집에 가서 쉬고 싶을 때 사람들로 가득 |
|
|
|
천성 그리고 교육 (양지승 / 매릴랜드 대 교육학교수) |
한국 방송 3사의 육아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었다. 선두 프로그램이었지만 이제는 종영한 “아빠, 어디가”와 함께 “수퍼맨이 돌아 왔다” 그리고 “오 마이 베이비” |
|
|
|
과정 또는 여유 (윤원정 / UC 버클리 재학) |
대학교 졸업을 몇 달 앞두고 들었던 영문학 수업을 떠올려본다. 16세기 에드먼드 스펜서의 작품 ‘The Faerie Queene’에는 Britomart이라는 이름 |
|
|
|
나의 요리 인생 (지니 조 / 마케팅 컨설턴트·교수) |
결혼한 다음 해에 한국의 친정에 갔다. 엄마가 “그래… 요리는 좀 늘었니?” 하셨는데 그때만 해도 다른 맞벌이 신혼부부들처럼 외식이 잦았기 때문에 요리할 기회가 |
|
|
|
스트레스 성장탕 |
“젊어 고생은 사서 한다”고 했다. 그 결과 “아픈 만큼 성숙해 진다”고도 했다.
하지만 막상 우리의 몸과 마음을 옥죄는 스트레스를 마주하게 될 때, 대부분 |
|
|
|
고단한 밥벌이, 그 이상의 의미 |
바야흐로 ‘을’의 고단한 삶이 주목받는 시기이다. 잔인할 정도로 고달픈 직장인의 삶을 그린 드라마 ‘미생’이 많은 직장인들의 공감을 바탕으로 인기를 끌었고, 땅콩 |
|
|
|
새로움의 의미 |
새로운 해가 밝았다. 새해를 맞이하는 사람들의 태도는 다양하다. 한살 나이를 먹는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두는 사람들에겐 씁쓸한 기간이기도 하고 하루 빨리 어른이 되 |
|
|
|
늦깎이 대학생 |
새 학기가 시작됐다. 솔직히 새 학기를 맞이하는 마음이 마냥 유쾌한 것만은 아니다. 내가 하는 일이 꽤 만족스럽다고 느끼지만 ‘새학기’라는 것은 늘 약간의 설렘과 |
|
|
|
1 2 3 4 5 6 7 8 9 10 Next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