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감사한 일상의 평범함 |
마른 잎사귀와 가을바람이 만들어 내는 소리가 여유롭다. 이 소리를 배경음악 삼아 난 오늘 마지막 가을걷이를 할 참이다. 우선 지난해 가지치기 때 모아 두었던 나뭇 |
|
|
|
우리가 해야 할 일 |
지난 24일 오전 CNN 등 주요 뉴스들이 앞 다퉈 한반도에 긴급 상황이 발생했다는 ‘브레이킹 뉴스’를 타전했다. 한민족으로서 분단의 책임이 있는 북한에서 민간인 |
|
|
|
내가 먼저 |
사람은 누구라 할 것 없이 다 자기 입장을 고집하며 산다. “내 생각만 옳고 내 경우만 바르다”는 것이다. 내가 주장하는 것에 동의해 줘야만 괜찮은 사람이고 상대 |
|
|
|
순국 선열의 날 |
지난 17일이 ‘순국 선열의 날’이라는 사실을 달력을 보고 처음 알았다. 과연 이날을 기억하고 지키는 우리 후손들이 얼마나 될까 생각해 보았다.
김구, 안 |
|
|
|
귀한 선물 |
추수감사절이다. 해마다 감사를 다시 상기할 수 있는 시간이 있다는 것은 좋은 일이다. 그리고 이 시간은 정말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 같다. C.S. 루이스는 인간이 |
|
|
|
불안의 시대 |
우리는 지금 불확실한 시대를 살고 있다. 삶이란 느닷없이 천재지변의 위험에 빠지기도 하고, 뜻하지 않게 환경이 바뀌기도 하며, 경제가 우리를 위협하기도 한다. |
|
|
|
사랑의 빚 |
미국은 1620년 이후 매년 감사절 기간에 온가족이 모여 하나님께 감사의 제단을 쌓아놓고 감사하며 가족적인 공휴일로 지내오고 있다. 아브라함 링컨 16대 미국 대 |
|
|
|
은퇴 |
한국 신문을 보니 75세 된 남자분이 지금도 건강하게 직장을 다니고 있고 88세 된 노인 여자 분은 지금도 팔팔하다는 가사를 싣고 있다. 최근 미국 신문을 보니 |
|
|
|
천안함의 진실은 무엇인가 |
3월26일 한반도 서쪽 바다 백령도 인근에서 군사훈련 중이던 초계함 ‘천안함’이 침몰하고 46명의 젊은 장병들이 희생되는 사건이 발생했다. 4월11일 한국정부는 |
|
|
|
우리 집 식탁 |
보통 금요일 저녁은 우리 부부가 외식을 하며 데이트를 하는 날이다. 식단 짜는 일과 장보기로 부터 해방이 되고 조금은 들뜬 기분이 된다. 그러나 매주 저녁 외식을 |
|
|
|
Prev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Next |